글 목차
1. (9월~10월 초) 자기소개서 작성 tip 및 예시_직무역량
이번 글에선 자기소개서에서 단골로 나오는 "직무 역량"관련 문항에 대한
작성 tip 및 예시를 적어보고자 한다.
1. (9월~10월 초) 자기소개서 작성 tip 및 예시_직무역량
1-1) 직무역량 문항_tip
- 포인트는 경험/스펙어필 x
- 어차피 다들 경험 자체, 스펙 자체는 좋음. 그리고 경험들 웬만하면 거기서 거기임
- 몇천 건의 자소서를 봐야 하는 인사담당자 입장에선 경험 자체만 나열한다고 해도 눈에 띄지 않음
- 따라서 단순한 경험/스펙 어필은 좋지 않음
- 소제목
- 넣을 수 있음 최대한 넣어주는 거 나쁘지 않음
- how+result 형태로 적는게 좋고, gpt 활용을 제일 많이 했던 부분
- 자소서 초반부
- 왜 이 직무역량이 해당 기업의 00직무에서 중요한지에 대해 “역량정의”를 잘해야 함.
- 이거 멘트 있고 없고 가 자소서 퀄리티 차이 많이 만든다 생각
- 직무 역량을 잘 정의하고 들어가야, 인사담당자 입장에서 아 얘가 이 직무에 대해 이해도가 있네? 공부 좀 했네라고 느껴짐
- 자소서 중반부
- 경험 서술 시, 기승전결 잘 갖추는 게 가장 중요
- 면접왕이형식으로 완벽한 3c4p까지 맞출 필요 없을 수 있지만,
[배경 상황설명→ 맞았던 어려움 →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결했는지 → 성과/배운 점] 이런 flow가 잘 드러나야 함. - skt 자소서 문항들의 경우 구체적인 가이드를 주는 편이라, 해당 가이드를 이용해서 연습 자소서를 써보는 것도 좋을 것
- 자소서 후반부
- [회사 /직무와의 연결 1,2줄] or [느낀 점/배운 점 어필]을 넣을 수 있으면 마지막 어필을 하면서도 자연스러운 마무리 가능
1-2) 직무역량 문항_예시
국민카드 작성 예시

- 이 예시에서도 핵심은 경험의 나열보다 맨 앞단에 적은 "직무 역량 정의"라고 생각한다
- 단순히 "데이터 기반 사고가 중요해요~저는 00 자격증 따면서 데이터 기반 사고 길렀어요" 이게 아니라, "왜" "00 직무에서 데이터 기반사고가 중요한지"를 언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(직무에서의 세부 업무 맥락에서 해당 역량이 필요한 순간들을 언급하며)
- 이것이 그 직무에 대해 이해도가 있구나, 공부 좀 했구나를 보여주는 포인트랄까?
- 어차피 경험은 다들 잘 나열하기 때문에 그 포인트를 하나 하고 아니고가, 자소서를 더 읽고 싶어 지는지를 바꿔주는 요소라고 생각한다.
- 또한 경험의 나열은 담백하고 간결하게 기승전결만 잘 표현하면 된다라고 생각한다
BC카드 작성 예시

- 위에 국민카드 예시와 마찬가지이다.
- 경험 나열칸이 조금 ㄷ줄더라도, 왜 "00 역량이 해당 직무에서 중요한지"를 자세히 풀어주면서 직무 이해도를 드러내는 게 중요하다
- 경험에서는 그런 직무 역량을 키워나갔다는 것과 더불어, 왜 해당 역량이 해당 직무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는지를 직접적으로 느꼈던 순간을 같이 드러내주면 더 좋다
- 또한 마지막 1~2줄에서 산업/회사에 대한 이해도를 같이 드러내주면서 해당 직무 역량을 바탕으로 어떻게 회사의 전략을 수행해나 갈 것인지 간단한 입사 후 포부를 적어주는 것도 자연스러운 글 끝맺음+ 회사/산업이해도 어필 측면에서 괜찮다고 생각한다
이번 글에선 자소서 문항 중 직무역량 문항에 대한 작성 tip을 적어봤다.
다음 글에선, 자기소개서 중 인성 관련 문항들에 대한 작성 tip과 예시 등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보겠다.
(많은 관심 부탁드리고, 질문이 있다면 얼마든지 남겨주세요!)
Profile:
'IT, 스타트업 쟁이의 대기업 취준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Ep.5 - 자기소개서 작성 tip 및 예시_지원동기, 입사 후 포부 (9월~10월초 ①) (1) | 2025.10.08 |
|---|---|
| Ep.4 - 산업/회사/직무/나 공부 (7~8월 ③) (5) | 2025.08.27 |
| Ep.3 - 경제 기사 스크랩 (7~8월 ②) (0) | 2025.07.20 |
| Ep.2 - 인적성, 지원 직무/산업정리, 인생기술서 (7~8월 ①) (3) | 2025.07.05 |
| Ep.1 - 전체 취준 타임라인 + OPIc, SQLD 취득 (5~6월) (0) | 2025.07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