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T, 스타트업 쟁이의 대기업 취준일기

Ep.2 - 인적성, 지원 직무/산업정리, 인생기술서 (7~8월 ①)

kdb1248 2025. 7. 5. 16:26

글 목차

1. 7~8월 취준 시간표

2. (7월 전체) 인적성 기초 다지기

3. (7월 1주 차) 옴스잡스 책 정독 후, 나의 현 상태 분석 및 나아갈 점 정리

4. (7월 1주차) 우선지원하고 싶은 직무/산업 정리

5. (7월 1주차) 인생기술서 작성


1. 7~8월 취준 시간표

기본적으로 7~8월은 아래와 같은 시간표대로 규칙적으로 생활하려 노력했다. 

학교 등 강제적으로 규칙적인 생활을 만드는 요소도 없는 시기이기에, 개인적으로 이런 식으로 시간표를 만들고 규칙적으로 자기 통제를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시기라 생각한다. 

 

또 한편으론, 8월말이 넘어서게 되면 서류/면접 등으로 자연히 바빠지고 내가 원하는 대로 스케줄을 짤 수 없는 상황들이 생긴다. 

(급박하게 특정 기업의 서류, 면접, 인적성에 시간을 몰빵 해서 써야 하거나 이로 인해 주말에도 못 쉬는 등)

그렇기 때문에, 이 7~8월에라도 충분히 쉬는 날을 만들어주면서 하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. (나에게는 주말이 그랬다)

 

7~8월 취준 시간표

9월부터~12월까지도 위 시간표와 큰 틀은 비슷하지만, 시기에 따라서 그 안의 콘텐츠들을 조금씩 다르게 가져갔었다.
(인적성/자소서/면접 비율을 다르게 가져감)

 

2. (7월 전체) 인적성 기초 다지기

1) 개괄

나는 인적성 공부 자체가 처음이었기 때문에 조금 일찍(?) 7월부터 인적성 공부를 시작했다. 

GSAT 책으로 먼저 공부하시는 분들도 있지만, 조금 더 유형이 다양한 [해커스 20대 대기업 책을]을 먼저 풀었다. 

해커스 20대 대기업 책

7월엔 다른 취업준비를 하더라도, "일정 시간"은 최대한 인적성에 쓰려고 했다. 

  • 특히나 8월말(상반기 2월 말)쯤 가면 본격적으로 자소서 쓰느라 인적성 공부 시간이 없어지기 때문에 7월~8월에 인적성 투입을 많이 하려 함
  • 개인적으로는 아침시간대에 2시간 정도 저녁 먹은 후 2시간 정도 투자.
  • 아침 시간대에는 새로운 문제를 풀고, 저녁 먹은 후에는 부담 없이 틀린 거 오답/다시 풀기 했음
    (아침시간대가 머리가 좀 잘 돌아가고, 저녁 먹은 후 시간대에는 뭔갈 힘들게 하기 힘들기 때문에)
  • 이건 개인 취향에 따라 정하면 될 듯

2) 상세 인적성 공부 타임라인

a. 7월 1주~2주: 해커스 20대 대기업 책 1 회독

  • 모든 문제를 다 시간 재면서 풀고, 각 문제별 걸린 시간을 해당 문항 상단에 기록해 둠
  • 문제 풀이는 따로 노트에 진행해서, 나중에 다시 해당 문제 풀 수 있게 함.
  • 단순 문제 풀고 채점하고 끝이 아니라, 오답정리+ 맞은 것도 다시 풀어봄 (세미 2 회독 느낌)
  • 일단은 다른 tip 공부 없이 내방식 + 교재 설명대로 풀었었음.
  • 아예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모르겠는 (ex. 도형, 수리 일부)는 하는데 까지 하고, 체크해 두고 넘김

b. 7월 3주~5주: 약점 정의& 약점 부분 강의 통해 해결 + 20대 대기업 책 2 회독

  • 단순 2 회독을 하는 게 아닌 1 회독 시 발견한 약점 영역들을 정리함
  • 갖가지 유튜브 영상/구글링 통해서 각 영역의 tip 들을 찾아가며 보완하고, 해당 내용을 정리해 둠
  • 해당 내용 바탕으로 2회 독시, 단순히 책 문제를 푸는 게 아니라 각 영역 인강들을 듣고, 인강에서의 팁을 적용해서 시간이 당겨질 수 있는지 확인함.
    • 각 영역별로 인강 내용들을 정리해 두면서 그때그때 리마인드 할 수 있도록 함

실제 인적성 각 영역별로 tip 들을 찾아 정리해둔 내용 예시

3) 개인적으로 도움 되었던 강의들

유료강의를 듣진 않았고, 유튜브 검색 정도로 찾을 수 있는 무료 강의만 찾아봤었다.

개인적으론 그 정도로도 충분했다

도움되었던 강의들

4) 기타 유의사항

  • 나는 특히나 “공간지각” 영역이 어려웠는데, 최근 해당 영역 문제 내는 회사 거의 없어지고 있음
    • 내가 인적성 봤던 회사 기준 KT, 현대카드 정도가 그나마 공간지각이 있긴 했음
    • 다만 KT는 KT용 특수한 공간지각 문제라 어차피 따로 공부해야 하고, 현대카드도 쉬운 전개도 문제 정도 나왔었음
      (본인은 일부는 시간 들여 풀고, 나머지 일부는 버리고 다른 유형 맞추기 선택)
  • 따라서 지원하려는 회사에서 공간지각 부분 나오는지 한번 서치 해보고, 거의 안 다룬다 싶으면 너무 스트레스받으면서 공부하지 말기 (나는 공간지각 영역은 해도 해도 안 되가지고 스트레스받았었는데, 차라리 그 시간에 자료해석이나 다른 영역 실력을 좀 더 길렀으면 낫지 않았을까 싶음)
  • 그래도 조금이라도 공부를 한다면 차라리 7월(상반기 기준 1월)에 한번 공부해 놓고 8월(상반기 기준 2월)부턴 거의 모든 회사에 있는 영역 언어/추리/수리/자료해석 위주로 공부하는 걸 추천!
  • 그 외로 나는 처음 인적성 공부할 때 시간도 너무 오래 걸리고, 틀리는 것도 많고, 아무리 해도 잘 안 되는 영역이 있었어서 그거에 스트레스를 굉장히 많이 받으면서 했음. 근데 영상 보면서 tip 얻고 하면 충분히 나아지니, 처음부터 인적성 잘 안된다고 너무 스트레스받지 말 것 (가장 중요)

3. (7월 1주 차) 옴스잡스 책 정독 후, 나의 현 상태 분석 및 나아갈 점 정리

개인적으로 내 취준기간 가장 도움이 되어줬던 유튜버는 옴스잡스님이었다.

옴스잡스님의 책을 정독 후, 내 기존 취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어떤 식으로 취준 방향을 잡아나가야 할지 정리를 했던 게,

내 취준에 가장 큰 도움이 되지 않나 싶다. (실제 자소서, 면접을 준비하면서도 도움이 됐지만)

 

나는 아래 2개의 책을, 밀리의 서재에서 밑줄을 쳐가면서 읽은 후 노션으로 내용을 1차 정리했었다. 

 

(좌,중) 읽었던 2개의 옴스잡스 책 (우) 책 내용을 노션에 정리했던 예시

 

그 뒤, 아래와 같이 현재 내 취준의 문제점을 책을 통해 느낀 점을 바탕으로 분석하고, 나아갈 점을 정리했다. 

당시 문제점 분석 및 나아갈 점 정리한 것

4. (7월 1주 차) 우선지원하고 싶은 직무/산업 정리

그 뒤, 내가 이번 시즌 어떤 우선순위로 직무/산업을 지원할지를 정리해 봤다.

  • 자소설닷컴, 구글 서치 등으로 작년 기준 하반기(동일 시즌)에 올라왔던 기업 공고들 쫙 서치
  • 그 후 영역별로 지원 우선순위화
  • 추후, 기업 간 일정이 겹쳐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나 어느 기업에 인풋을 더 들일지 판단하는데 도움이 되었음
  • 또한 1차적으로 우선순위 직무/산업 정리가 되어야, 바로 뒤에 해야 할 작업인 [직무/산업공부/경제기사 스크랩] 작업을 진행할 수 있음.
  • 처음부터 완벽하게 정리하기보다 일단 1차적으로 정리 후, 중간중간 변경해도 괜춘!
  • 또한 이 부분 진행 시, 대략 내가 해당 시즌에 몇 개 정도 서류를 낼 수 있을지 감이 잡히기도 함

우선지원하고 싶은 직무/산업정리 예시

5. (7월 1주 차) 인생기술서 작성

1) 개괄

  • 옴스잡스 책에서 그렇게 강조하는 인생기술서를 작성하는데 취준 가장 초반을 보냈다
  • 한 번에 완성한다는 생각보다는 일단 한번 쭉 작성하고, 7월 2주 차부터도 계속 조금씩 보완을 해나갔다
  • 쓸 때 이걸 자소서 면접에 적어야지, 하는 걸로 생각하고 쓰지 말고 그냥 다 의식의 흐름대로 좋은 점, 안 좋았던 모습들 다 솔직하게 쓰기. 특정 형식 갖출 필요도 x. 오히려 star 기법 이런 거 쓰지 말기
  •  나 같은 경우는 나중에 자소서/면접을 준비하면서 추가로 생각났던 소재들도 있었는데 그 소재들을 자소서/면접 준비 페이지에 보관했지만, 그때마다 지속적으로 인생기술서 페이지에 해당 내용을 업뎃해놨어도 좋지 않았을까 싶다

2) 인생기술서를 쓰면 좋은 이유 (취준 끝나고 돌아보니)

  • 앞으로 뭘 하고 싶나에 대한 생각정리
  • 내가 몰랐던 자소서/면접 소재의 발견
    • 기존에 그냥 써오던 소재 외에도, 의외로 매력적인 소재들의 발견 가능
    • 특히나 면접에서 자소서에서 쓴 거 외의 경험 얘기해 주세요/그거 외에 또 경험 있나요? 등과 같이, 하나의 질문에 대해서도 여러 개의 경험을 말하길 희망하는 경우 있어서 이런 것 대비할 때 좋음
  • 성격 장단점/직무 역량 파악을 통한 인성/임원면접 대비
    • 자소서 면접 단골 소재인 장단점, 자기소개, 성향 관련 질문에 대한 자동 대비가 가능해짐 + 억지 대비 x
    • 직무 관련 질문인 역량 정의 및 역량 관련 경험 질문에도 쓸 소재를 다양하게 뽑을 수 있음
  • 성장과정 등과 같은 자소서, 면접 대비
  • 특히나 임원면접 쪽으로 가면 어떤 경험에 대한 질문을 해나갈지 모르기 때문에 인생자체를 돌아볼 필요 있음
  • 중요 면접 전 나 자체에 대해 돌아볼 때 좋음

3) 인생기술서 작성 및 활용했던 순서

a. 노션으로 한번 쭉 써보기

- 옴스잡스 템플릿 참고함

https://m.blog.naver.com/darddong/221448581931

- 인생기술서 목차 예시 (내가 작성한)

목차 예시

- 인생기술서 작성예시

작성예시

 

b. 작성한 인생기술서를 다시 읽어보며, 공통적으로 자주 언급되는 성향/인상 깊은 부분들을 댓글로 하이라이트 해놓기

하이라이트 예시

c. 해당 부분들을 바탕으로 "인생기술서에 많이 나온 키워드/강점&\약점/ 취미&특기" 등을 정리 + 관련 경험 리스트업 및 연결

(좌) 키워드 정리 (우) 키워드에 관련경험 리스트업 및 연결

d. 위 내용 바탕으로, "장단점/성격/자기소개" 후보지 정리해 보기

- 자소서/면접의 인성 관련 질문들에 사전 대비가 자연스럽게 된다.

"장단점/성격/자기소개" 후보지 정리

 


글 길이가 길어지는 관계로 7~8월에 진행한 아래 4가지 내용은 다음 편에서 이어서 작성하겠다. 

 

6.(7월 1주 차~) 경제 기사 스크랩

7. (7월 2주 차~) 산업/회사/직무/나 공부

8. (8월 초중순) 연습용 자소서 작성

9. (8월 전체) 인적성 심화

 

(많은 관심 부탁드리고, 질문이 있다면 얼마든지 남겨주세요!)

 

Profile:

Linkedin